합격 자소서
합격자소서

자소서를 검토하는 찰나의 시간에도 

강조하고 싶은 역량을 가시적으로 전달해야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자소서의 맨 앞만 보고도 

어떤 내용을 전달하려고 하는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서류 전형의 합격/불합격을 넘어 

면접에서 질문의 소재 활용 여부까지 정해진다.

 

합격되는 자소서에는 어떤 요소가 꼭 있을까?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Q. 둘 중 어느 것이 합격 자소서일까?

 

예시 자소서 1번 

 

전역 후 저는 새로 오픈한 수입과자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습니다.
당시 수입과자가 인기를 끌었고 주변에만 3개의 수입과자가 더 있었습니다.
가격은 모두 비슷했기 때문에 상품과 서비스로 고객을 사로잡아야 했습니다.
(중략) 

실제로 앞쪽으로 일부 제품만 전진배치를 한 뒤 '000'의 다른 맛을 찾는 손님들이 늘었고,
실제 매출도 옮기기 전보다 1.5배 정도 올랐습니다. 

 


예시 자소서 2번 

 

수입과자 가게에서 아르바이트하며 대표 상품인 '000'를 중심으로 동선 분석과 품목 분석을 시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매출을 1.5배 증대시켰고 분석력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첫째, 손님들의 동선을 파악하여 홍보하기 좋은 진역 위치를 분석했습니다.
(중략)

둘째, 손님들의 선호도가 높은 '000' 세 가지 품목을 분석하며 앞에 배치했습니다. 
(후략)

 


A. 정답 2번

합격 자소서는 2번이다.

자소서 2번이 합격 자소서인 이유는 바로 높은 가시성 때문이다. 

 

 

여기서 잠깐, 가시성이란? 

가시성이란 잘 보이고 눈에 잘 띄는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가독성과 혼동할 수 있지만 가독성과 가시성은 명백히 구분된다. 

가독성은 글이 얼마나 잘 읽히는지를 말한다. 

우리는 글이 잘 읽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많은 지원자 중 눈에 잘 띄는 합격 자소서를 써야 하기 때문에.

가시성이라는 요소가 꼭 필요하다. 

 

 

다시 예시로 돌아가서 사례 1의 경우, 초반에 상황 설명이 쭉 늘어지다가 

핵심적인 이야기가 맨 뒤에 나와 내용 전달이 미비하게 느껴진다. 

다시 잘 읽어보면 자소서 2번이 내용 전달이 더 명확하다는 걸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높은 가시성이 그 이유이다.

 

 

오늘은 예시를 통해 본 것과 같이,

모든 합격 자소서에는 

 높은 가시성이 필수다! 

 


 

이번 시간에는 합격 자소서에 꼭 필요한 요소가 가시성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렇다면, 사례 2처럼 가시성 높은 자소서는 어떻게 쓰는 걸까?

 

< 가시성 높은 자소서 어떻게 쓰는 걸까? - 작성방법 편>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